윤미향 의원 "주한미군 기지 ‘캠프 마켓’ 주변 오염도 심각, 납 기준치 123배 검출"“미군기지 주변지역 오염은 국민 생명과 직결된 문제…정보공개하고 철저히 정화해야”
주한미군기지였던 부평의 캠프 마켓의 주변 토지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캠프 마켓은 일제 강점기에 무기공장이었다가 해방 후 미군기지로 사용돼 왔다. 지난해 12월 한미 합의에 따라 인천시가 캠프 마켓 전체 44만㎡ 중 21만㎡ 땅을 우선 반환받았고, 2단계로 나머지 23만㎡ 땅도 추후 한미 협의를 거쳐 돌려받을 예정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윤미향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이 5일 환경부에서 제출받은 ‘2018년 주한미군 주변지역 환경오염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오염토양 정화조치를 하고 있는 인천 부평 캠프 마켓의 주변지역도 석유계총탄화수소(TPH), 납(Pb), 구리(Cu), 카드뮴(Cd), 아연(Zn) 등에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캠프 마켓 A구역의 주변지역인 굴포천을 따라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기준치의 31배인 15,560mg/㎏이 검출됐다. 납(Pb)은 무려 기준치의 123배가 넘는 86,334.7mg/㎏, 구리(Cu)는 77배에 이르는 11,649.9mg/㎏이 나왔다. 또 카드뮴(Cd)은 7.28배, 아연(Zn)은 6.6배가 높게 검출됐다.
캠프 마켓은 지난 2017년 환경부에서 다이옥신 오염을 조사한 결과, 7개 조사지점의 토양시료에서 1,000 피코그램(pg-TEQ/g)을 초과했으며, 초고농도는 기지북쪽 경계 부근의 1~3m 깊이에서 10,350pg-TEQ/g이 검출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부평구청은 지난 6월 국방부에 캠프 마켓 A,B구역과 그 주변지역의 오염토양 정화조치 명령 공문을 보냈으며, 2022년 6월14일까지 이행보고서를 제출해 달라고 요구했다. 국방부는 “캠프마켓 주변지역 오염정화는 「토양환경보전법」에 의거 오염원인자 확인 후 정화책임자(원인자)가 정화하게 되어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캠프 마켓은 다이옥신류 등 복합오염되어 있는 A지역(DRMO부지), 중금속·유류로 오염된 B지역(일반행정 부지), 오수정화조 부지인 C지역, 반환되지 않은 빵공장 부지 D지역으로 구분돼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A지역은 복합오염토양은 2019년 6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B지역은 지난 9월부터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있으며 2021년 12월까지 정화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8·2019년 조사지역 중 9곳씩 기준치 초과 검출
환경부는 2018년 주한미군 주변지역 환경오염조사에서 캠프마켓과 함께 칠곡 캠프 캐롤, 의정부 캠프 시어즈, 천안 하이포인트, 부산 동구 55보급창, 대구 남구의 캠프 헨리·캠프 워커·캠프 워커 H-805, 평택 캠프 험프리가 적용기준을 초과한 물질이 나와, 해당 지자체에 조사 결과와 오염 정화조치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환경오염조사만 하고 오염된 토양, 지하수에 대한 정화조치는 해당 지자체가 맡고 있어서다.
<저작권자 ⓒ 수원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주한미군기기, 부평, 캠프 마켓, 기지 오염, 환경오염, TCE, 정화비용, 관련기사목록
|